세종학당재단,
‘2025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성공적으로 마쳐
> 전 세계 49개국 107개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등 국내·외 한국어교육 관계자 300여 명 참석
> 세종한국어평가(SKA)·교재 및 학습 앱 활용 등 현장 중심 연수 운영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최현승, 이하 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지난 7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치러진 ‘2025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올해 17회를 맞은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는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원 및 국내외 한국어 교육자들을 초청해 최신 교수법 등을 제공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연수회입니다. 이번 대회에는 전 세계 49개국 세종학당 107개소의 교원 162명을 비롯해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어 교원 3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개회식에서 영상 축사를 전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부인 김혜경 여사
대회 참가자들에게 환영사를 전하는
재단 최현승 사무총장
대회 첫날인 지난 7월 21일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부인 김혜경 여사의 영상 축사와 재단 최현승 사무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개회식이 진행됐습니다. 김혜경 여사는 축사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렬하고 깊은 울림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있다.”라며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의 노고와 헌신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씨앗이 전 세계에 퍼져 앞으로 찬란한 우리 문화의 미래를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우수교원 공모전’에서 문체부 장관상(최우수상)을 수상한 박인선 교원(부다페스트 세종학당)과
재단 이사장상(우수상)을 수상한 이보현 교원(룩셈부르크 세종학당), 이슬 교원(마나마 세종학당)
이어 ‘2025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우수 교원 공모전 시상식이 진행됐습니다. 먼저 이번 공모전에서 1위를 차지한 부다페스트 세종학당 박인선 교원에게 문체부 이정우 문화예술정책실장이 문체부 장관상(최우수상)을 수여하고 그동안의 헌신에 대한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했습니다.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한 룩셈부르크 세종학당 이보현 교원과 마나마 세종학당 이슬 교원에게는 재단 최현승 사무총장이 재단 이사장상(우수상)을 수여했습니다.
2025년 신규 지정 세종학당 지정서 전달식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이후 2024년 우수 세종학당으로 선정된 중국 칭다오2 세종학당, 키르기스스탄 소쿨루크 세종학당, 콜롬비아 보고타 세종학당, 대만 타이난 세종학당 총 4개 기관에 공로패를 수여하고, 올해 새롭게 지정된 세종학당 11개소에 지정서를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AI 시대의 문해력과 한국어 교육’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하는 이화여자대학교 서혁 교수
우수 교원 공모전 수상 사례를 소개하는 문체부 장관상
수상자 박인선 교원(부다페스트 세종학당)
개회식 2부는 ‘AI 시대의 문해력과 한국어교육’을 주제로 한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서혁 교수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됐습니다. 이어진 우수교원 공모전 사례 발표에서는 1부 수상자 3인의 발표를 만나볼 수 있었으며, 문체부 장관상을 수상한 부다페스트 세종학당 박인선 교원은 이 자리에서 ‘한국어, 교실을 나가 세상과 연결되다’를 주제로 누리소통망(SNS) 글쓰기 수업과 한국인 유학생과의 언어·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연계한 교육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우수 교원 공모전 수상 사례를 발표하는 이보현 교원(룩셈부르크 세종학당), 이슬 교원(마나마 세종학당)
또 우수상을 수상한 룩셈부르크 세종학당의 이보현 교원과 마나마 세종학당의 이슬 교원도 각각 인공지능(AI) 통역 응용프로그램(앱)과 한국 영화를 활용한 다언어 문화 수업, 한글 활용 소리책(Audio Book) 수업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교원 전문역량 강화 연수(1일 차) 프로그램에서 강연 중인
부산외국어대학교 정명숙 교수(왼)와 재단 최윤정 콘텐츠사업본부장(오)
연수 1일차(22일)와 2일차(23일)에는 한국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현장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이 진행됐습니다. 참가자들은 1일 차에 부산외국어대학교 정명숙 교수의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방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의와 재단 최윤정 콘텐츠사업본부장의 ‘세종학당 신규 교육과정 콘텐츠 소개와 활용’ 강의를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또 한국어 교수법 관련, 재단 개발 교재, 세종학당 학습앱 등을 활용한 분과별 실습 강의와 함께 한국어 교원 대상 컨설팅 및 분임 토의가 이어졌습니다.
교원 연수 프로그램(2일 차)에서 한식(왼)과 자개 북마크(오) 만들기를 체험하는 참가자들
연수 2일 차에는 ‘세종한국어평가(SKA) 및 단계적 적응형 평가(i-SKA)’와 ‘세종한국문화 교재 활용법’ 강의가 진행됐으며, 오후에는 참가 교원들의 한국문화 교수법 역량 강화를 위한 한식(K디저트) 만들기, 전통공예(자개 북마크 만들기), 사물놀이 관련 실습형 분과 연수가 이뤄졌습니다.
대회 마지막 날인 7월 24일에는 대회 기간,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교원들이 직접 작성한 교안 결과물을 발표하는 시간과 교안 발표회 우수조에 대한 시상식 등을 끝으로 모든 대회 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습니다.
2025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전시 공간에서 재단 교육콘텐츠를 체험 중인 참가자들의 모습
한편, 참가자들은 대회 기간, 대회장 내 설치된 전시 체험 공간에서 재단 개발 교재 및 학습앱, 세종한국어평가(SKA), 메타버스 세종학당 등 다양한 콘텐츠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대회에 참가한 한 교원은 “이 자리에서 세종학당 교원들이 교육 현장에서 진행한 생생한 우수사례를 접할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됐고, 효과적인 한국어 한국문화 교수법을 접할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라고 참가 소감을 밝혔습니다.